728x90
반응형
배열 혹은 객체에서 각각 값 이나 프로퍼티를 분해하여 손쉽게 개별 변수에 담을수 있다
- 배열에서의 구조 분해 할당
[100, 200]이 각각 a, b에 담긴다.
const [a, b] = [100, 200];
console.log(a); // 100
console.log(b); // 200
//혹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수있습니다.
const array = [100,200]
const [a,b] = array
console.log(a); //100
console.log(b); //200
// a 에는 array[0] , b에는 array[1] 값이 할당 되었습니다.
- 객체에서의 구조 분해 할당
프로퍼티(property)를 대상으로 구조 분해 할당한다.
const student = {
name: "Sparta",
age: 18,
onlineClass: "Node JS",
};
const { name, age, onlineClass } = student
console.log(name); // "Sparta"
console.log(age); // 18
console.log(onlineClass); // "Node JS"
=> student라는 객체에서 nama, age, onlineClass등의 property를 쉽게 뽑아서 사용할수 있다.
궁금한 점
- 구조 분해 할당을 할때의 변수명의 속성이 var, let, const 중 무엇일까?
- 어찌보면 복사의 개념인데 깊은 복사일까 얕은 복사일까?
728x90
반응형
'Language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-1 객체의 기본 (0) | 2022.10.05 |
---|---|
ES의 의미와 ES5,ES6 차이점 (0) | 2022.10.02 |
JavaScript 기초 2 (0) | 2022.09.30 |
함수 (0) | 2022.09.30 |
JavaScript 기초 1 (2) | 2022.09.23 |